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업안전보건법44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해설(안전조치와 전도의 방지) 제38조(안전조치)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험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기계ㆍ기구,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 2. 폭발성, 발화성 및 인화성 물질 등에 의한 위험 3. 전기, 열, 그 밖의 에너지에 의한 위험 ② 사업주는 굴착, 채석, 하역, 벌목, 운송, 조작, 운반, 해체, 중량물 취급, 그 밖의 작업을 할 때 불량한 작업방법 등에 의한 위험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③ 사업주는 근로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서 작업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 2. 토사ㆍ구축물 등이 붕괴할 우려.. 2021. 4. 19.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기준 정확히 알려드립니다. 산업안전 현장에 안전난간을 설치하는데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시다고요? 이제 여러분도 과감히 설치하고, 발주를 넣을 수 있습니다. 관리감독도 가능하실거예요.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에 의한 법적 기준 제13조(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 사업주는 근로자의 추락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맞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1.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할 것. 다만,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은 이와 비슷한 구조와 성능을 가진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2.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ㆍ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이하 “바닥면등”이라 한다)으로부터 90센티미터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상부 난간대를 120센티미터 이하에 설치하는 경.. 2021. 4. 15.
계단에 안전난간을 설치하라고요? 계단에 안전난간을 설치하라고 하는데...어떤근거로 말씀하시나요? 법적근거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30조(계단의 난간) 사업주는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기준 ** 계단의 높이가 지면에서 가장 높은 곳까지 수직거리가 1미터 이상이면 양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해야합니다. ** 안전나간의 기준은 규칙에서 정하는 90센티미터 이상으로 기준에 맞게 설치해야 되겠죠? ** 다만 중간난간대를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난간기둥을 25센티미터 이내로 설치하면됩니다. ** 위 사진에는 오른쪽은 벽면인데 그래도 난간 설치해야 하나요? 답변 : 벽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혹은 떨어질 위험이 없다면 난간 설치를 안해되 되겠죠!!!! 그외에도 계단 기준 제26조(계단의 강도.. 2021. 4. 13.
풋스위치의 덮개 왜 설치하라고 할까요???? 스위치로 사용하는 풋스위치 역할 두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단점 기계가 작동하는 데 위험점에 손이 들어가 있다면 협착, 끼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겠지요 위 사진은 리프트의 상승, 하강을 담당하는 덮개가 없는 스위치 입니다. **문제점 리프트의 상승시는 크게 위험이 없지만 내가 원하지 않을 때 하강을 하게 된다면 팔렛트 하부에 발등 등이 끼일 수 있습니다. 내가 원하지 않게 작동되는 상황은 1. 실수로 발을 밟아서 2. 제품이 낙하하면서, 혹은 공구가 **해결 하지만 상부에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면 낙하나, 실수로 밟는 일은 없겠지요? 그래서 풋스위치에는 덮개를 설치하라고 합니다. 원래는 덮개가 있었는데 발이 잘 안들어가고 불편하니깐 갈아 없애버렸죠. ** 설정 위의 두.. 2021.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