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전검사6

SPP 용기 또는 PIPE 에 대해서~~ 과연 용접을 해서 만들까?? 1. SPP Pipe란?일반적으로 SPP는 Seamless Precision Pipe 또는 Standard Pressure Pipe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고, 어떤 경우엔 Steel Pipe Product의 약자로 탄소강 강관(Carbon Steel Pipe) 제품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특히 산업 현장이나 배관 설계에서 SPP라는 말이 종종 사용돼요. 2. SPP 파이프는 용접으로 만드나요?Seamless Pipe (무계목강관):용접 없이 제조됩니다.강괴나 빌릿을 뚫어서 만드는 방식으로 고압 배관, 고온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일반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정밀 배관에 사용됨.Welded Pipe (용접강관):코일을 말아서 용접해서 만드는 파이프입니다.일반적인 배관, 구조용 등에 널리 사용되며, 생.. 2025. 4. 15.
컨베이어 안전장치 중 역주행방지장치가 무엇인가? 컨베이어에서 매년 다수의 근로자가 사망재해를 입는다.단순한 경미한 사고부터 산재는 무지기 수이다. 그래서 위험기계기구 13종 중 1개인 컨베이어가 안전검사 대상이 되었다.매 2년마다 받아야죠. 컨베이어하면 이정도는 알것이다. 1. 비상정지장치2. 역주행방지장치3. 이탈방지장치4. 건널다리  다른 건 좀 알아도 역주행방지장치는 무엇일까? 그래서 사진을 준비해봤따. 모터가 전기가 공급되면 회전을 하는데, 경사진 벨트에 물건이 실린상태로정전이 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그럼 역으로 돌아갈것인데 사고의 위험성이 크겠지. 위에것이 역주행방지장치 중 하나이다. 모터 쪾에 설치해서 한쪽방향으로 돌때는 돌고, 반대로 돌면 멈추게 하는 브레이크 기능이 있지.정식 명칭으로는 걸쇠(폴), 톱니바퀴(래칫) 이라고 불러.  .. 2025. 3. 21.
산업용로봇 안전검사 시 놓치는 부분들 안전검사 13종 중 하나인 위험기계기구 산업용로봇... 안전검사 대상품으로 편입이 되었지만, 검사를 받는다고 중대재해가 예방되지는 않는듯하다.공학적인 안전관리가 잘 되어도, 관리적인 부분이 미비하면 사고로 이어지니~~~ 휴먼에러, 사람들의 불안전한행동을 규제하고 관리하는 것이 안전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요즘은 많이 생각이 든다. 물론 많이 어렵다는 것도 알고 있다. 로봇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것은??? 1. 방책(울타리) 1800mm 이상 설치 그리고 인터록2. 비상정지장치3. 안전매트 및 광전자 방호장치   그 외에 잘 모르는 사항들?? 1. 방책에 설치된 문은 밖으로만 열려야 한다.=> 위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나갈수 있도록2. 방책 내부에는 제어반, 유공압장치, 용접와이어 등 비치 금지=> 방책.. 2025. 3. 20.
갑종 압력용기에는 접지를 해야한다.(안전검사)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압력용기는 내경 기준(id) 150mm을 초과하고 사용압력 또는 설계압력이 0.2Mpa 이상이면안전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물론 최초 안전인증을 받고 3년 뒤부터 안전검사를 2년마다 받으면 된다. 안전인증 기준도 안전검사 와 동일한다. 그런데 용기는 갑종과 을종으로 구분한다.그 구분방법은 간단하다. 단순하다.설계압력(design pressure)이 0.98Mpa을 초과하면 갑종(즉 10kgf 초과) 그 이하이면 을종이다.  별건 없는데 간단히 말해 갑종은 고압용으로 만드는 용기이기에내용물이 어떤거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지만,접지를 해야한다는 것이 포인트이다. 예를 들어 최근 검사한 압력용기이다. 안전인증을 받았기에 3년 뒤 올해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였다. design press 가 .. 2025. 2. 19.
반응형